7월호 Q&A
Q1. 스피커의 경우 자기장의 세기가 클수록 좋은가요?
강원도 춘천시 후석로 구경욱
A1. 자석의 자력 단위는 가우스(Gauss)라고 합니다. 스피커에 쓰이는 대표적인 자석으로는 페라이트와 알리코, 네오디뮴 등이 있고 가우스가 모두 다릅니다. 종류가 같은 자석도 크기와 밀도에 따라 가우스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스피커를 설계할 때 필요한 자력 값은 진동판, 보빈, 서라운드 에지, 댐퍼, 보이스 코일 등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서 모두 다르며 자력의 크기가 세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의 구성 요소 중 자석의 세기가 모든 역할에 지배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진동판의 크기와 무게, 댐퍼의 경도와 유연함 등이 복합적으로 자력에 의한 반발력을 좌우하므로 무조건 자석의 자력이 클수록 좋은 스피커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Q2. 출력과 제원이 동일하다는 전제 하에 4채널 파워앰프 하나와
2채널 파워앰프 2개 사이에 음질차이가 있나요?
대구시 남구 큰골3길 이성곤
A2. 동일한 제원의 파워앰프를 4채널 1대로 구성하느냐 아니면 2채널 2대로 구성하느냐 그 차이점은 아무래도 멀티앰핑 시의 이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의 전원단으로 이뤄진 4채널 파워앰프의 경우 각각의 출력단에 하이 출력과 로우 출력을 사용해서 멀티 앰핑을 구성하면 과도한 로우 출력으로 인해 파워앰프의 왜곡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곧바로 하이 출력의 음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반면 독립된 2채널 파워앰프를 별도로 사용해 멀티 앰핑을 구성하면 하이 출력과 로우 출력의 파워앰프가 각각 분리돼 있으므로 과도한 출력 발산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다른 파워앰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Q3. 리어 스피커도 도어나 뒷선반 등 위치에 따라서 효과가 다른가요?
인천시 남구 소성로117번길 한광수
A3. 리어 스피커도 위치에 따른 음질 차이가 매우 큽니다. 리어 스피커가 리어 도어에 위치하면 운전자의 기준에서 프론트 스피커보다 가까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때 프론트 스피커보다 리어 스피커의 음이 운전자에게 먼저 전달되며 지향성이 좋지 못합니다. 반면에 리어 선반에 위치하면 프론트 스피커보다 거리가 멀어서 음의 도달 속도가 프론트 스피커보다 늦으며 지향성이 천장을 향해서 도어에 위치한 경우보다 안정적입니다.
Q4. 감도가 높은 스피커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대전시 중구 선화서로130번길 박무근
A4. 스피커 감도는 파워앰프의 출력을 소리로 변환해 재생하는 크기를 능률로 표현한 용어입니다. 감도가 높은 스피커는 적은 출력이 인가돼도 상당히 큰 사운드를 재생하는 특성이 있으며 베이스와 중음, 고음을 균형있게 구현하고 특히 중고음의 재생 능력이 탁월해 음원 재생 시 작고 디테일한 사운드까지도 잘 표현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출력이 작지만 음질이 뛰어난 파워앰프와 매칭 시고음질 구현 능력이 대단히 뛰어납니다.
Q5. 미드우퍼의 도어 장착 시 흔히 사용하는 배플 방식에도 종류가 여러 가지인가요?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14길 한정후
A5. 도어 배플은 작업의 난이도나 범위의 확장성, 인스톨러의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스피커의 토우인과 노출을 위한 부분 배플로 비교적 간략하게 완성하는 방식과 도어 전체를 성형해 사운드 재생 시의 이점 및 강성 디자인까지 보완하는 방식이 주로 쓰입니다.
Q6. SPL 시스템에 유리한 차종이 따로 있나요?
인천시 남구 주안서로54번길 이민석
A6. SPL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가 차종입니다. 시스템의 특성상 1차 전원 발생 장치인 알터네이터의 전원 생산량이 많아야 하고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의 용량이 크며 순간 방전량 또한 많아야 합니다. 그리고 사운드를 더욱더 라우드하게 재생하고 다수의 서브우퍼 및 파워앰프를 적용하려면 아무래도 내부 공간이 큰 차량이 보다 유리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SPL 시스템은 SUV이나 RV 차량이 세단형 차량보다 우수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