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호 Q&A
10월호 Q&A
Q1. 파워앰프를 브릿지해 사용할 경우 음의 왜곡이 생길 수도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대구시 수성구 무학로 오동욱
A1. 스테레오 파워앰프를 모노로 브릿지해 사용할 경우 이전보다 왜율이 증가합니다. 뿐만 아니라 출력이 계산상 거의 4배 정도 증가하고 입력 전원 또한 스테레오 채널로 사용할 때보다 더 많이 필요합니다. 왜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스테레오 출력을 기본으로 설계된 회로에 모노 브릿지를 추가 지원해 증폭량을 대폭 증가시키면 순수 주파수만 증폭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노이즈 성분도 함께 증폭되므로 출력과 함께 음질에 이롭지 못한 성분도 증가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Q2. 카 오디오에서 사용하는 스피커선, 전원선, 신호선 등도 단선이 될 수도 있나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172번길 하기혁
A2. 카 오디오에 사용되는 각종 선재는 단선의 우려가 항상 존재합니다. 전원선이나 스피커선, RCA선은 사고로 인한 단선의 우려가 가장 큽니다. 그 외 스피커 선은 차량의 도어를 통해 연결되므로 두꺼운 단심선을 사용하면 도어의 개방이 잦아서 물리적인 휘어짐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때 단선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Q3. 서브우퍼 인클로우저의 종류 중 밴드패스 타입은 SPL에 보다 유리한 가요?
경기도 의왕시 계원대학로 도경수
A3. 밴드패스 인클로우저의 기본 특성은 실드형과 포트형 인클로우저의 장점을 두루 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2개의 챔버를 사용한다고 파워핸들링이 무조건 크게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잘못 제작할 경우 실드형이나 포트형 인클로우저보다 스피커 유닛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더욱 심할 수 있습니다. SPL 시스템에 사용하는 서브우퍼와 인클로우저는 단적으로 무엇이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고 인클로우저의 설계에 의존하는 부분도 크지만 스피커 드라이버 자체의 파워핸들링과 내구성이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SPL 서브우퍼는 포트형 인클로우저에 적용할 때 음압에 유리한 특성이 있습니다.
Q4. 정격입력이 100W이고 최대 허용입력이 150W인 스피커의 경우 대응할 만한 파워앰프의 출력은 어느 정도가 적정한가요?
인천시 부평구 신트리로 문상인
A4. 스피커와 파워앰프의 매칭 관계는 오디오 시스템에서 선호하는 볼륨량을 고려해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격출력이라는 기준하에 파워앰프와 스피커 간의 출력이 무조건 1:1이나 그이상으로 매칭해야 한다는 기준은 없습니다. 낮은 볼륨을 주로 사용할 경우 파워앰프 출력이 스피커의 정격출력보다 다소 부족해도 크게 문제 될 것이 없고 이와 반대로 대출력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선 파워앰프가 스피커의 정격출력보다 높아야 하는 것이 안정적인 매칭이므로 시스템의 성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Q5. 도어에 스피커 장착 시 기본적으로 방진매트를 부착하는데 이를 생략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나요?
대전시 대덕구 덕암로137번길 이창열
A5. 스피커 장착과 함께 이뤄지는 방진 시공은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너지가 도어에 전달될 때 진동을 흡수하는 재질을 최대한 근거리에 부착해 불필요한 진동음을 흡수, 차단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러한 방진 시공을 생략할 경우 음악 재생 시 발생하는 진동이 재생음과 혼합돼 불쾌한 소음으로 청취되기 때문에 방진 시공은 필수적으로 선행되는 것이 좋습니다.
Q6. 콤팩트한 파워앰프는 대부분이 디지털 파워앰프인가요?
울산시 남구 법대로 박준수
A6. 디지털 파워앰프가 발전을 거듭할수록 콤팩트해지고 성능이 우수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파워앰프의 크기는 자체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출력량에 비례해서 결정됩니다. A 클래스나 AB 클래스 파워앰프도 자체 출력량이 적을 경우 크기가 작을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몬스터 서브우퍼를 구동할 목적으로 설계된 디지털 파워앰프는 크기가 상당히 큰 경우도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디지털 파워앰프라 고 크기가 무조건 작은 것이 아니며 파워앰프의 전원 효율과 출력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크기가 결정됩니다.